05월 17일(토요일)

별표(*)가 표시된 회의는 초청자 및 관계자만 입장 가능합니다.


항쟁 도시

항쟁 도시


좌장
베네데타 코스코 세계지방정부연합 인권위원회 정책 담당관
야니카 푸이스토 유엔 인권최고대표사무소 인권 담당관
모르텐 샤에름 라울발렌베리인권연구소 겸임교수
발제
메이슨 다우드 제닌 여성폭력 대책 본부 본부장
아웅 묘 민 미얀마 민족통합정부 인권부 장관
양성주 제주4.3희생자유족회 부회장
제주4‧ 3과 국가폭력」 
클라우스 슈탈 유네스코 지역인권증진국제센터 소장
김호균 5‧18민주화운동기록관장
광주 5·18민주화운동과 인권도시의 형성: 항쟁의 기억과 그 현재적 의미」 
벤자민 마카당당 필리핀 바기오시 4급 행정보좌관
쉐리 롤린스 캐나다 위니펙시 시의원 및 시의회 인권위원회 위원장
도리안 로먼스 유네스코 프로그램 담당관
주관
유엔 인권최고대표사무소, 세계지방정부연합 사회통합·참여민주주의·인권위원회, 라울발렌베리인권연구소

지구촌 반폭력 문화 확산을 위한 대화

지구촌 반폭력 문화 확산: 5개국 시민의 이야기

국가 간 전쟁은 가장 큰 폭력 현장이며 각국 내부에서도 국가권력에 의한 폭력은 민주화 과정 속에서 반복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폭력은 또한 지역 내 불평등 속에서 사회 계급 간의 갈등으로 드러나며, 자본주의발전 과정에서도 일상생활 속에서 강자와 약자 간의 물리적 혹은문화적 폭력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본 회의에서는 이러한 복합적인 폭력의 현실을 인식하며, 광주에 거주하는 알제리, 베트남, 우즈베키스탄, 중국 출신 이주민들과 한국 시민이 각자의 국가에서 겪은 전쟁, 국가폭력, 사회적 차별의 구조를 비판적으로 성찰하고, 반폭력 문화 확산을 위한 실천적 대화에 참여하고자 한다.

발제
오은영 평화문화공작소 두번째 상상 대표
광주에서 바라보는 반폭력 평화의 지구촌 과제」 
발표
유슬아  페리엘 드리우아 아시아 민주주의 연대기 작가
「침묵 속의 회복력과 함께 나눈 투쟁의 이야기 
르엉 응옥 뚜 스엉 전남대학교 경영학과 졸업생
「베트남의 교훈과 평화롭게 살 권리
모히나 투라예바 광주여자대학교 글로벌영어교육학과생
「인권으로서의 평화권과 저항폭력의 경험
우등  전남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과정생 
침묵 위에 심은 씨앗, 평화라는 이름으로」 
김예리  광주시민방송 PD
민주주의의 고향, 광주 청년이 얘기하는 5·18」 
주관
()광주시민방송

자연식물식 원데이 클래스

모두를 위한 평화밥상


강연
이영미 식물식평화세상 대표
주관
광주국제교류센터

국제인권연수 특강


강연
김수아 김수아법률사무소 변호사 
주관
광주광역시, 광주국제교류센터

폐회식

요약보고
김민수 광주외국인주민지원센터 사무국장 
유공자 
표창
야니카 푸이스토 유엔인권최고대표사무소 인권 담당관
배영 광주국제교류센터 선임간사
폐회사
고광완 광주광역시 행정부시장 
폐막공연
차오름 친구들 난타공연

세계인권도시포럼 사무국
(61475) 광주광역시 동구 중앙로 196번길 5(금남로3가) 1-2층 광주국제교류센터
Tel: 062-226-2734 │ Fax: 062-226-2731 │ E-mail: whrcf@gic.or.kr
Copyright 세계인권도시포럼 All rights reserved.

세계인권도시포럼 사무국
(61475) 광주광역시 동구 중앙로
196번길 5(금남로3가) 1-2층 광주국제교류센터
Tel: 062-226-2734
Fax: 062-226-2731
E-mail: whrcf@gic.or.kr
Copyright 세계인권도시포럼 All rights reserved.